[입법예고2017.05.10]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최도자의원 등 12인)
LR.A
[입법예고2017.05.10]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최도자의원 등 12인)
발의자
제안일
소관위원회
회부일
입법예고기간
문서
최도자의원 등 12인
2017-05-10
보건복지위원회
2017-05-11
2017-05-12 ~ 2017-05-21
법률안원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의료기사는 의사의 지도 아래 진료나 의료적 검사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환자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만큼 직무 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의무가 부과되는 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등에서는 직무수행 과정에서 아동학대범죄, 노인학대범죄, 장애인학대범죄 등을 알게 된 경우 수사기관에 그 사실을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음.
그런데 이렇듯 의료기사에게 부여된 신고의무는 그 직무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신고의무를 불이행하는 경우 개별법에서 규정한 과태료 부과대상이 될 뿐 면허자격의 정지 등 제재처분의 대상으로는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신고의무 이행 확보가 어렵고, 범죄 신고율이 매우 저조한 수준에 그치고 있음.
이에 의료기사가 직무수행 과정에서 아동학대범죄, 노인학대범죄, 장애인학대범죄 등을 알게 되었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수사기관 등에 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보건복지부장관이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면허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정하여 범죄에 대한 신고를 유도하고, 의료기사의 업무상 책임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22조제1항제2호의6 신설).
[입법예고2017.05.10]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최도자의원 등 11인) 발의자 제안일 소관위원회 회부일 입법예고기간 문서 최도자의원 등 11인 2017-05-10 보건복지위원회 2017-05-11 2017-05-12 ~ 2017-05-21 법률안원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은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 및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료기사에 대하여 그 직무상 장애인학대 및 장애인 대상 성범죄를 알게 된 때에는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또는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나…
[입법예고2017.05.10] 노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최도자의원 등 11인) 발의자 제안일 소관위원회 회부일 입법예고기간 문서 최도자의원 등 11인 2017-05-10 보건복지위원회 2017-05-11 2017-05-12 ~ 2017-05-21 법률안원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은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 및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료기사에 대하여 그 직무상 노인학대를 알게 된 때에는 즉시 노인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하도록 하고, 이를…
[입법예고2017.05.10]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최도자의원 등 12인) 발의자 제안일 소관위원회 회부일 입법예고기간 문서 최도자의원 등 12인 2017-05-10 보건복지위원회 2017-05-11 2017-05-12 ~ 2017-05-21 법률안원문 ■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은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 및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료기사에 대하여 그 직무상 발달장애인에 대한 유기등의 발생 사실을…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의료기사는 의사의 지도 아래 진료나 의료적 검사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환자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만큼 직무 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의무가 부과되는 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등에서는 직무수행 과정에서 아동학대범죄, 노인학대범죄, 장애인학대범죄 등을 알게 된 경우 수사기관에 그 사실을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음.
그런데 이렇듯 의료기사에게 부여된 신고의무는 그 직무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신고의무를 불이행하는 경우 개별법에서 규정한 과태료 부과대상이 될 뿐 면허자격의 정지 등 제재처분의 대상으로는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신고의무 이행 확보가 어렵고, 범죄 신고율이 매우 저조한 수준에 그치고 있음.
이에 의료기사가 직무수행 과정에서 아동학대범죄, 노인학대범죄, 장애인학대범죄 등을 알게 되었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수사기관 등에 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보건복지부장관이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면허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정하여 범죄에 대한 신고를 유도하고, 의료기사의 업무상 책임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22조제1항제2호의6 신설).